티스토리 뷰
워드프레스를 웹호스팅 공간에 설치를 하면 도메인을 얻기 위한 과정이 필요합니다. 도메인 유지비용은 업체마다 다르기 때문에 비교를 해봐야 합니다. 보통은 1년에 1~2만 원 정도 비용입니다. 후이즈,카페24에서도 도메인 등록이 가능하지만 요즘에는 HOSTING.KR 사이트를 많이 이용하는 것 같습니다. 예를 들어, 뒤에 xyz 으로 끝나는 도메인인 경우 1년에 천 원 정도 비용이 듭니다. 물론 2년째부터는 금액이 엄청 상승을 하는 단점은 있지만 워드프레스를 익혀보는데 비용을 조금이나마 아끼고자 한다면 여기서 도메인 구입 후 테스트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. 등록기간을 길게 잡을수록 할인율이 높게 작용하는 점도 있어서 길게 사용할 도메인이라면 그렇게 결제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아, 웹호스팅 서비스를 신청할 때 워드프레스 설치 요구사항에 잘 맞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. 요즘은 표기가 잘 되어 있어서 크게 가입같는 거는 어렵지 않게 하실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.
문제는 네임서버 변경과 도메인 연결관리입니다. 저도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공부를 하면서 적는 부분이기도 합니다. 네임서버는 (DNS : domain name server) IP주소와 도메인 주소를 연결해주는 컴퓨터입니다. 웹호스팅 공간을 마련했고 도메인도 샀다고 하면 이제 이 둘을 연결을 해줘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네임서버를 변경하는 일이 우선되어야 할 것입니다. 물론 한 업체에서 둘 다 했으면 변경하지 않아도 됩니다.
도메인 구입한 곳에서 내 도메인 관리에 들어갑니다. 회사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명칭은 다를 수 있지만 대체적으로 비슷할 거라 생각합니다. 구입한 도메인은 네임서버가 1차 2차 로 나뉘어 보일 것입니다 예를 들면 호스팅 kr 기준으로 조회해보면 ns1.hosting.co.kr 과 ns2.hosting.co.kr과 같이 처음에 보입니다. 저같은 경우는 호스팅 업체가 다른 업체이기 때문에 네임서버 주소를 호스팅 회사에서 제공하는 네임서버 주소와 IP로 변경해 주었습니다. 두 홈페이지를 왔다 갔다 하며 작업을 해야 합니다. 보통 카페 24 같은 호스팅 회사의 경우는 1~4차까지의 호스트명과 IP주소가 있습니다. 그걸 다 입력해서 변경해주면 됩니다. 네임서버 변경에 적용되는 시간은 보통 48시간 정도 걸린다고 합니다.
이렇게 서버간의 연결을 끝낸 후 도메인 연결 관리를 해줍니다. 이는 도메인 연결이란 항목에서 쉽게 연결가능하니 부가적인 설명은 필요 없을 듯합니다.
FTP를 이용한 워드프레스 설치에 대해서는 다음에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.
감사합니다.
- 신호위반과태료
- 맥북공장초기화
- 신청방법
- 현금캐시백
- 온누리모바일상품권
- 소상공인
- 신호위반범칙금
- 킹덤
- 버팀목자금
- 근로장려금지원금액
- 주휴수당게산
- 5차재난지원금
- 공항철도비용
- 위메프고객센터
- 마스크
- 주휴수당미지급
- 온라인강좌
- 키
- 스키장정보
- 전화번호
- 인스타 현활
- 150년하버드글쓰기비법
- 핀터레스트탈퇴방법
- 직군별봉급
- 스키장위치
- 과태료조회방법
- 근로장려금계산방법
- 넷플릭스
- 야놀자고객센터
- 위택스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